경남과학고, 영재교실별 맞춤 현장연구 전문가 특강·첨단 실습 등 ‘다채로운 탐구의 장’ 마련
경남과학고등학교(교장 이기흔)는 2025학년도 1학년 영재교실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교실의 특성에 맞춘 현장연구를 5월 20일(화)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예비 과학도들이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실제 현장에서 과학적 탐구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획됐다.

물리 영재교실, 항공우주 멘토 교수 특강과 연구 주제 토론 물리 영재교실 학생들은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대학을 방문해 멘토 교수진의 특강과 연구 주제 토론에 참여했다. 특강은 로켓, 인공위성, 항공기제어 개론 세 가지 분야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각 교수의 전문 강의 후에는 학생들이 해당 주제에 대해 직접 질문하고 토론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학생들은 로켓의 추진 원리, 인공위성의 구조와 임무, 항공기 제어 시스템의 핵심 이론과 실제 사례를 접하며, 교수와의 활발한 질의응답과 심층 토론을 통해 각자의 탐구 주제를 구체화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력과 발표력, 협업 능력을 한층 더 키우는 소중한 경험을 쌓았다.
화학 영재교실, 첨단 세라믹 기술과 분석 실습의 현장 화학 영재교실은 한국세라믹기술원을 방문해 광전자, 에너지 환경, 나노융복합, 세라믹공정기술 분야의 연구원들과 직접 만나 최신 연구 동향을 들었다. 이어 국립 창원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에서 첨단 분석 장비를 직접 다루는 실습을 진행하며, 실험 데이터의 수집과 해석 과정을 경험했다. 학생들은 실험실 현장에서 연구원들과 소통하며, 첨단 화학기술이 실제 산업과 사회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
생명과학 영재교실, 산림·바이오소재 연구로 생태계의 가치를 체험 생명과학 영재교실 학생들은 경남수목원과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를 탐방하며 다양한 식물과 바이오소재 연구 현장을 직접 체험했다. 현장 연구에서는 식물의 생태, 환경 변화에 따른 생물 다양성, 바이오소재의 개발과 활용 등 폭넓은 주제를 다뤘다. 또한 경상국립대 공동실험실습관을 견학하며 생명과학 분야의 실험과 연구 방법을 실습했다. 학생들은 자연 생태계의 복잡성과 생명과학의 사회적 역할을 체감하며, 실질적인 탐구 역량을 키웠다.
지구과학 영재교실, 진주층 지질 답사로 현장 중심 학습 강화 지구과학 영재교실은 사천지역(신수도, 자혜리, 선진리, 비토섬 일대)에서 진주층 지질 답사를 실시했다. 학생들은 직접 암석과 지층을 관찰하고, 지질 구조와 형성 과정을 현장에서 분석했다. 이번 답사는 교과서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 지형과 비교하며, 우리나라 지질의 특징과 변화 과정을 생생하게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됐다. 경남과학고는 지구과학올림피아드 국가대표를 꾸준히 배출하는 등,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야외 연구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수학·정보 영재교실, 위상수학·AI·공학도구 활용 실세계 수학문제 탐구 수학 및 정보 영재교실 학생들은 경상국립대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수의 특강에서 위상수학, 특히 오일러 표수에 관한 강의를 들으며 수학의 심화된 이론적 세계를 경험했다. 이어 부산의 IT기업 (주)블루바이저 대표와 개발자를 만나 인공지능(AI) 기술의 최신 동향과 실제 산업 적용 사례에 대해 듣고,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역량과 진로 탐색에 대한 조언을 받았다. 특히 외부 수학 교사의 특강에서는 ‘공학도구를 활용한 실세계 수학문제 탐구’를 주제로, 학생들이 최신 공학도구를 직접 활용해 실제 생활 속 수학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학적 사고력과 실생활 적용 능력을 한층 더 키울 수 있었다.
이기흔 교장은 “각 영재교실별로 학생들의 전공 적성과 흥미를 반영한 맞춤형 현장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과학적 탐구의 기초를 다지고 미래 과학 인재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경남과학고는 앞으로도 학생 중심의 다양한 탐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새로운 시각과 경험을 쌓으며 과학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경남교육홍보관] http:// https://www.gne.go.kr/pr/user/bbs/BD_selectBbs.do?q_bbsSn=1509&q_bbsDocNo=20250521203121632
|